Sunday 15 January 2012

[음악잡담] Wagner - Tannhäuser Overture

어릴 때 부모님을 졸라 피아노를 6년 정도 배웠다. 그 때는 정말 치기 싫었는데, 지금은 집에 아무도 없을 때마다 피아노 뚜껑을 열어 아무 악보나 골라서 치곤 한다. 그런데 얼마 전, 어렸을 때는 전혀 알지 못했던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연주자의 재량(기량이 아닌, 재량으로 해결한다고 할 때의 그 '재량')과 악보 해석능력. 단순히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것 이상으로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싣는 게 중요하다는 것. 그리고, 연주자가 곡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이 사실을 차이코프스키의 <1812년 서곡>을 들으며 다시 느낄 수 있었다. 당시 나는 세 개의 음원을 가지고 있었는데, 분명 같은 곡인데도 대포 사용 유무에 따라, 대포가 어느 박자에 터지느냐에 따라, 각 주제의 빠르기에 따라 곡의 느낌이 조금씩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분명 같은 악보인데 말이다.

2012년 1월 둘째주에 들었던 곡은, 꽤나 유명한 곡이라고 하는데 사실 나는 들어보지 못한, 바그너의 <탄호이저 서곡(Tannhäuser Overture)>이었다. 의도하지 않게 이번주는 각각 다른 지휘자 + 오케스트라의 녹음 두 개를 함께 듣게 되었고, 위에서 느꼈던 '해석'의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었다. 그건 차차 이야기하기로 하고...

저번주에 들었던, 차이코프스키의 <이탈리안 기상곡> 이후 나는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차이코프스키를 계속 달릴 것인가, 아니면 다른 작곡가로 갈아탈 것인가. 다른 작곡가로 갈아탄다면, 1958년 음반에서 <1812 서곡>과 <이탈리안 기상곡>에 커플링되어 있던, 베토벤의 <웰링턴의 승리>를 선택할 것인가. 정말 고민을 많이 하다 순간 머릿속에 떠오른 이름이 있었으니, 바로 바그너(Wagner)였다. 조금 옆길로 새자면, 내가 요즘 파고 있는 배우이자 나의 롤모델인 스티븐 프라이(Stephen Fry)가 바그너 팬이다. 물론 절.대.로. 이 사실 때문에 이 곡을 고른 건 아니다. 단지 짧아서 ㅡㅡ; 긴 곡을 듣기엔 좀 부담스런 상황이었기 때문에 ㅡㅡ;

여튼 바그너의 <탄호이저 서곡> 관련 글들을 또 검색해보니 오토 클렘페러(Otto Klemperer)의 지휘반을 다들 추천하길래 고클래식 다운로드에서 다운받아 구글뮤직에 업로드했다(이하 1960년반). 그리고 곡명 정리를 위해 Wagner로 검색을 하는데, <탄호이저 서곡> 파일이 두 개 있다고 나오는 것이었다. 뭔가 착오가 있겠지 싶었는데, 아차차. 이전에 고클래식의 베이직 클래식 메뉴에서 빌렘 멩겔베르크(Willem Mengelberg)의 1930년 지휘반(이하 1930년반)을 다운받았던 게 생각났다. 이런. 피아노로 편곡된 악보를 봐도 무슨 곡인지 전혀 모르겠던데, 아마 관심있게 듣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런 이유로, 이번주는 같은 곡을 어떻게 해석했는지 두 음원을 비교해가며 들었다. 그리고 3일만에 둘 중 하나의 음원을 선택할 수 있었다.

ⓒ EMI / 이미지 출처 : 고클래식 웹진
빌렘 멩겔베르크(Willem Mengelberg, 지휘)
암스테르담 콘서트해보우 오케스트라
(Amsterdam Concertgebouw Orchestra)
1930 Mono
우선 두 음반은 연주 시간에서 1분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1930년반이 1분 정도 더 짧았는데, 1960년반이 박수를 좀 더 받느라고 1분 정도 시간을 썼다 싶은, 지금 생각해보면 조금 황당한 생각을 하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하지만 두 음반의 차이는 바로 이 1분에 있었다.

이 곡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참고 : 고클래식 웹진 - 탄호이저 서곡) 예전에 <세상이 묻고 진리가 답하다>라는 책에서 백비 아즈씨가 안식 - 해방 - 안식이었나? 아무튼 무슨 구조를 말한 게 있는데, 이 곡이 딱 그렇다. (물론 나는 서양음악에만 그 구조가 있다는 백비 아즈씨의 말에 동의할 수 없다. 그때 지간사님 말씀에 엉뚱한 답을 하긴 했는데, 사실 내가 동의 못하는 부분은 A-B-A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안식 - 해방 - 안식의 구도를 그릴 수 있다는 가정이 붙어있다면, 동양음악 역시 그 구도를 가지고 있다고 충분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EMI / 이미지 출처 : 고클래식 다운로드
오토 클렘페러(Otto Klemperer, 지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Philharmonia Orchestra)
1960 Stereo
그런데 첫번째 부분에서 두번째 부분으로 넘어가는 부분이 굉장히 급격하다. 그래서 처음 들었을 때 혹시나 음반이 튕겨서 1분 정도 짧은 거라고 생각했는데, 리스트가 편곡한 피아노 악보를 보니 원래 그런 거였다.

대신 1960년반은 첫번째 부분과 세번째 부분을 1930년반보다 느리게 연주한다. 그만큼 두번째 부분은 훨씬 급격하게 넘어가고, 확 바뀐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두번째 부분에서 세번째 부분으로 넘어갈 때는 더욱 웅장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자, 이제 눈치를 챘을 것이다. 내가 1960년반을 선택했음을.

분명 두 사람은 같은 악보를 보고 연주했을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1분이라는 차이가 날 수 있었을까. 나는 지휘자인 빌렘 멤겔베르크와 오토 클렘페러가 각각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그 악보를 다르게 '해석'해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지휘자의 재량. 같은 곡을 연주해도 조금씩 다른 느낌을 가져다주는 것. 편곡을 하지 않아도, 곡을 어떻게 해석했느냐에 따라 색다른 느낌을 받는 것. 이번 1주일 동안 <탄호이저 서곡>을 들으며 느꼈던 것이다.

지금은 아는 곡들이 별로 없어 일단 여러 곡들을 귀에 익히는 중이지만, 이제 어느 정도 곡들이 귀에 익으면 같은 곡을 각 지휘자별로 들어보고 싶다. 지휘자들의 곡 해석 묘미를, 제대로 느껴보고 싶다.

Sunday 8 January 2012

[음악잡담] Tchaikovsky - Capriccio Italien Op.45

2011년 말의 어느 날. 막 클래식 음악에 발을 담근 터라 1주일에 한 곡씩 새로운 곡을 들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2012년 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매주 한 곡씩, 지금까지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곡을 들어보겠다! 라는 항목을 넣었다. (2012년의 1주일이 지난 지금, 내 계획 중 제대로 지킨 건 이거 하나밖에 없었다 ㅡㅅㅡ) 그리고 오늘, 1주일 동안 들어왔던 곡의 리뷰....라고는 도저히 못하겠고! 그냥 듣고 느낀 걸 풀어서 써보련다. ㅋ 아마 앞으로도 1주일에 한 번씩 이런 글을 쓸 생각인데, 과연 언제까지 할 수 있으려나 ㅋㅋㅋ ㅡㅅㅡ

<이탈리안 기상곡(Capriccio Italien Op. 45)>.

차이코프스키(이하 차형님)의 곡을 처음 만난 건 언젠지 모르겠다. <호두까기 인형>이나 <백조의 호수> 등등 지나가면서 듣고 '이건 차형님 곡이군'이라고 생각한 건 꽤 오래 됐을 테니까. 하지만 차형님의 곡을 실제로 파보겠다! 라고 생각한 건 얼마 되지 않았다. 이 모든 건 영화 <브이 포 벤데타(V for Vendetta)> 때문이었으니, 건물 폭파 장면에서 나오는 이 음악에 빠져서 차형님의 깊고 깊은 골짜기로 빠져든 것이었다.

ⓒ Mercury / 이미지 출처 : 클릭
그렇다면 그게 바로 이 곡이냐고? 그럴리가. 나는 그렇게 싱거운 사람이 아니다. 그 곡은 <1812 서곡(Overture 1812)>였다. 이 곡을 세 가지 버전으로 들었는데, 그 중 내가 지금까지 갖고 있는 이 곡의 음원이 있다. 안탈 도라티(Antal Dorati)의 지휘와 미네아폴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Minneapolis Symphony Orchestra)의 연주가 담긴 바로 요 음반인데, 이 앨범의 두 번째 트랙이 바로 <이탈리안 기상곡>이었다. 아무래도 <1812 서곡>에서 차형님의 곡을 파보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다른 곡을 고를 만한 정보가 없어서 바로 다음 트랙을 골랐던 것이다. 그리고 1주일 내도록 틈만 나면 들었다. (물론 귀 건강을 생각해서 자주는 못들었다. 아오. 집에서 음악 좀 대놓고 듣고 싶다아 ㅠㅠ)

처음에 이 곡을 들을 땐 정말 아무 생각이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곡을 듣기 전에 대강 검색을 해봤는데 다들 잘 짜여진 좋은 곡이란 칭찬일색인데, 아무리 들어도 내 귀에는 영 아니었던 것이다. 하긴, 지금 생각해보면 본격적 입문을 <1812 서곡>으로 하고, 그 다음으로 들었던 곡이 홀스트의 <행성>이었으니, 내 취향에 이 곡이 바로 딱 들어오진 않겠다 싶다.

여튼, 처음엔 귀에 잘 안들어오던 곡이 어느 순간 좋아지는 경우를 몇 번 경험했기 때문에, 일단 1주일 동안 들어보자는 생각으로 이 곡을 듣기 시작했다. 그러다 안되면 뭐.... 어쩌겠어... 이런 생각이었다지.  하지만 들어도 들어도 뭔가 잘 들어오진 않았다. 몇 번 듣다 보니 집시들이 외진 곳에서 모닥불 피워놓고 춤추는 그런 장면이 머릿속에 그려지긴 했지만, 제목처럼 '이탈리아'를 느끼긴 어려웠다.

그런데 정말, 생각지도 못한 엉뚱한 계기로 이 곡이 좋아지기 시작했다. 내가 이 곡을 듣기 시작했다고 남자친구에게 얘기해주니 자기도 듣겠단다. 그래서 별 생각없이 넘겨준 뒤(저작인접권 완료된 이 앨범 음원을 한 클래식 사이트에서 돈주고 산 뒤 그 파일을 남자친구에게 넘겨주었다. 불법 공유 아닙니다 ㅡㅡ;) 어땠느냐고 물어봤는데, 이런 답을 하는 게 아닌가.

"이거, 완전 이탈리아틱한데?"

그 순간, 뒤통수를 딱 때리는 이 느낌.

그랬다. 이탈리아에 대한 사전 지식이 전혀 없었기에 이 곡의 제목부터 분위기까지 하나도 귀에 들어오지 않았던 것이다. (남자친구도 이탈리아에 가본 적은 없지만, 서양사 전공이다 보니 나름대로 지식이 있었던 듯하다.) 그렇다고 당장 이탈리아에 달려갈 수도 없고, 인터넷에서 후다닥 찾아볼 수도 없고(길을 걷다 있었던 일인데, KT 3G가 요즘 심각하게 Hell 수준이라 ㅡㅡ;) 뭐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작년에 본 영국 드라마 <젠(Zen)>에 나오는 장면들을 머릿속에서 있는 대로 막 끄집어내기 시작했다. 왜냐. 이 드라마가 이탈리아 올 로케라능. 아 정말 이 드라마 진짜 좋은데 정말 좋은데.... 잡설은 여기까지.

그리고 다시 이 음악을 듣기 시작했는데, 오 마이 갓. 내 머릿속에 펼쳐지는 신세계여. 나는 어느새 이 곡의 선율을 따라 이탈리아 어느 마을의 구석진 골목을 따라 걷고 있었고, 어느 무도회장에서 신나게 춤을 추는 사람들을 보고 있었으며, 따사로운 햇살을 받으며 이 곡의 선율을 따라 부르고 있었다. 이제야 왜 이 곡의 제목이 <'이탈리안' 기상곡>인지 알 수 있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이 곡은 차형님이 결혼 실패 후 마음 추스리러 이탈리아에 갔다가 Feel 받고 만든 곡이라고 한다. 그러니 지역색이 안 묻어나면 더 이상할듯)

남자친구의 저 한 마디 덕분에 나는 1주일 중 남은 시간 동안 이 곡을 즐길 수 있었다. 생전 처음 들어본 곡이라 아직 주선율을 외울 정도는 아니지만, 이 곡을 앞으로 안들을 것도 아니고. ㅋㅋ 계속 듣다 보면 더욱 귀에 익고, 그러다 보면 지금 내가 발견하지 못한 또 다른 느낌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이 곡을 듣고 있다. 덕분에 몸은 대한민국 남쪽의 어느 곳에 있지만 머릿속은 또다시 이탈리아 어딘가를 누비고 있다. 정말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이 곡 + 멘델스존 교향곡 4번 <이탈리아> + 내가 모르는, 이탈리아 관련한 곡들을 들으며 이탈리아의 곳곳을 직접 다녀보고 싶다. 그 때가 되면, 지금 느꼈던 것과 또 다른 새로운 느낌이 다가올 테니까.